[엘리스 SW QA 트랙 9~10주차] 1차 팀 프로젝트 회고
·
📂 Quality Assurance Study/🔥 엘리스 SW QA트랙
ℹ️ 프로젝트 가이드📌 3/21 - 1일차 회고 (대상 서비스 파악 및 프로젝트 환경 세팅) 어제 수업이 끝난 후 오후 8시 30분 기차를 타고 서울로 올라왔다. 고시원에 도착해 짐을 대충 풀고 나니 어느덧 밤 11시가 훌쩍 지나 있었다. 급하게 눈을 붙였지만, 낯선 잠자리 때문인지 자꾸 뒤척이게 됐다.오늘은 엘리스Lab에서 팀원분들을 처음으로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날이었다. 비몽사몽 일어나서 서울 구경도 할 겸 30분 정도 걸어서 엘리스Lab으로 향했다.Jenkins는 CI/CD 자동화를 위한 도구이지만, Windows 환경에서는 Java 환경 설정 및 설치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가 발생하여 로컬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Jenkins 공식 이미지를 활용해 Docker로 Jenkins 컨테이너를 실..
[엘리스 SW QA 트랙 8주차] 학습 내용 정리 및 회고 (Git과 Jenkins를 활용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
📂 Quality Assurance Study/🔥 엘리스 SW QA트랙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엘리스 SW QA 트랙 7주차] 학습 내용 정리 및 회고 (Python을 활용한 테스트 자동화)
·
📂 Quality Assurance Study/🔥 엘리스 SW QA트랙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S #11] Interpreter, Compiler에 대하여
·
📂 Computer Science
📌 문제 상황현재 프로젝트에서 가상환경을 생성하고, 그 안에서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오늘 실습을 위해 pip install faker 후 from faker import Faker를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다. 원인을 한참 찾다가 Ctrl + Shift + P를 눌러 인터프리터 경로를 가상환경 내의 python 실행 파일로 변경해주자 문제없이 해결되었다. 사실 이전에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다. 과거에 pip install selenium을 실행한 후 import selenium을 시도했을 때도 같은 오류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그때는 인터프리터 경로를 Anaconda 내의 python 실행 파일로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했었다. 당시 해결된 이유가 궁금해 터미널에서 p..
[자동화 #1] Unity에서의 테스트 자동화 및 Jira 이슈 등록 자동화
·
📂 Quality Assurance Study/📄 QA 공부
📌 Unity Script vs Test Script항목일반적인 Unity Script (MonoBehaviour)Test Script (NUnit)동작 방식GameObject의 Component로 추가되어야 실행됨Test Runner가 자동으로 실행실행 시점Unity의 Start(), Update() 등에서 호출됨Test Runner가 SetUp(), Test() 등을 호출Unity Scene 필요 여부필요 O (Scene에서 실행됨)필요 X (GameObject 없이도 동작 가능) + 추가 지식Test Runner ~> Unity에서 테스트 코드를 실행할 때는 Test Runner 도구 사용 ~> [ Window ] > [ General ] > [ Test Runner ] 에서 실행 가능 📌 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