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ra 및 Confluence 사용 방법
·
📂 Quality Assurance Study/📄 QA 공부
현재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학습 계획 및 성과 분석을 Jira와 Confluence를 활용해 관리하고 있다. 본인이 스터디장을 맡고 있어서 Jira 및 Confluence를 통해 문서를 취합해야 하는데, 두 가지 도구를 처음 접한 데다 사용 가이드도 인터넷이나 유튜브에 많지 않아서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하며 하나씩 기능을 익혀가는 중이다. 그래서 혼자 삽질하며 알아낸 기능들을 이 글에 정리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다시 찾아볼 수 있도록 정리할 예정이다. 그리고 계속 사용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내용들도 틈틈이 추가할 예정이다. (본인이 모르는 Jira 및 Confluence 기능이 아직도 많을 거다..) 저처럼 혼자 헤매고 있을 누군가에게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본인이 한참 삽질했던 부분은 빨간색..
Ping, Jitter, Packet Loss에 대하여
·
📂 Computer Science
📌 Ping이란?Ping은 네트워크 성능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까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응답을 받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단위는 ms이며, 숫자가 낮을수록 네트워크 반응 속도가 빠르다는 뜻이다. Ping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측정한다. ✅ Ping 동작 방식클라이언트가 서버로 ICMP Echo Request(핑 요청)를 보냄서버가 이를 수신한 후, ICMP Echo Reply(핑 응답)를 클라이언트로 다시 보냄클라이언트는 응답을 받는 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Ping 값을 계산 ✅ Ping 계산 공식Ping(ms) = 왕복시간(RTT) = 패킷 송신 시간 + 응답 수신 시간 + 추가 지식ICMP(I..
TCP와 UDP에 대하여
·
📂 Computer Science
📌 OSI 7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이란?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단계별로 나눈 개념 모델이다. 이를 계층으로 나눈 이유는 네트워크 장비와 프로토콜을 표준화하여 통일성을 확보하고, 문제 발생 시 계층별로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계층을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다양한 장비와 서비스 간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OSI 7계층의 구조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유선) 또는 무선 신호(Wi-Fi, 전파)로 변환하여 전송 / 네트워크 장비 간 물리적 연결 담당)데이터 링크 계층 (MAC 주소를 기반으로 장치 간 데이터 전송 /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오류 검출 및 수정)네트워크 ..
[엘리스 SW QA 트랙 4주차] 학습 내용 정리 및 회고 (테스트 자동화 개요 및 필요성)
·
📂 Quality Assurance Study/🔥 엘리스 SW QA트랙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Process와 Thread에 대하여
·
📂 Computer Science
📌 Program이란?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파일로, 쉽게 말해서 코드 덩어리다. 이는 디스크에 저장된 정적인 존재로, 실행되기 전까지는 CPU와 메모리 등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시: 디스크에 저장된 실행 파일 chrome.exe) 📌 Process란?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동적인 상태로 변환된 것으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운영체제(OS)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CPU 자원을 할당하여 실행하는 순간 프로세스가 된다. 즉, 프로세스는 CPU와 메모리 등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며,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예시: chrome.exe가 실행되어 하나의 창이 띄워진 상태) ✅ Process 특징독립적인 실행 단위로, 각 프로세스는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