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2A(Agent to Agent)란?
·
📂 Computer Science
📌 A2A(Agent to Agent)란?최근 들어 AI Agent가 일정 등록, 파일 생성, 이메일 발송 등의 다양한 기능을 스스로 수행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하나의 Agent가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어떤 Agent는 일정 관리에 특화되어 있고, 어떤 Agent는 검색이나 문서 요약에 강점을 지닌다. 이런 상황에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A2A(Agent to Agent), 즉 에이전트 간 직접 통신이다. A2A는 말 그대로 AI Agent들끼리 서로 요청을 주고받으며 협력하는 구조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의록을 요약하고, 팀에게 메일로 공유해줘"라고 명령하면, 하나의 Agent가 이 모든 작업을 혼자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회의록 요약 -> 요약 전문 A..
네이버 Tech Talk -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
📂 Computer Science
📌 REST란 무엇인가?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로, 웹의 독립적 진화를 보장하기 위한 6가지 제약 조건 존재한다. 1. Client-Server: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 분리 2. Stateless: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음 3. Cacheable: 응답은 캐시 가능해야 함 4. Uniform Interface: 일관된 인터페이스 제공 5. Layered System: 계층화된 시스템 구조 6. Code-on-Demand (Optional):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코드를 전송할 수 있음 📌 REST의 핵심 - Uniform Interface ~> 이 발표에서는 특히 Unifo..
MCP(Model Context Protocol)란?
·
📂 Computer Science
📌 MCP(Model Context Protocol)란?최근 다양한 AI 서비스나 Agent들이 등장하면서, 특정 기능(예: 메일 전송, 일정 등록, 메시지 전송 등)을 수행하기 위해 API와 연결하는 과정이 필수가 되었다. 하지만 개발자 입장에서 서비스를 하나하나 연결하려면 각 서비스의 API 문서를 읽고, 인증 정보를 설정하고, 다양한 형식의 요청을 맞추는 등 번거로운 작업이 반복된다. 또한 AI 모델이 외부 도구와 상호작용하려면 그에 맞는 코드나 별도 프레임워크가 필요해, 일반 사용자나 초보 개발자에게 진입장벽이 높다는 문제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MCP(Model Context Protocol)이다. MCP는 AI가 외부 서비스와 보다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
[엘리스 SW QA 트랙 11주차] 학습 내용 정리 및 회고 (고급 웹 테스트 자동화)
·
📂 Quality Assurance Study/🔥 엘리스 SW QA트랙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
·
📂 Program Language Study/📄 JavaScript 공부
📌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웹 페이지를 띄우고 생각해보자.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는 순간 애니메이션이 부드럽게 실행되고, 동시에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API 요청도 비슷한 시점에 일어난다. 심지어 스크롤 이벤트도 문제없이 잘 동작한다. "응?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라면서? 그럼 이 모든 일들을 동시에 어떻게 처리하는 거지?" 이런 궁금증이 든다면 아주 자연스럽다. 자바스크립트는 분명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는 언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작업들이 "거의 동시에"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동작 원리, 그리고 비동기 처리 구조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한다. ⬇️ 스레드에 대한 개념은 아래 글을 참고 [CS #6] Proce..